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 (요약)
디지털 뉴딜 | 데이터 댐 | - 범국가적 데이터 정책 수립, 민관합동 컨트롤타워 설치 - 2025년까지 총 18조원 투자, 39만개 일자리 창출, 5G 보급률 70% 도달 |
지능형(AI) 정부 | ④ 국회도서관과 중앙도서관 내 자료들의 디지털화 | |
스마트 의료 인프라 | - ICT를 활용한 재택 의료 건보 수가 시범사업 확대 | |
그린 뉴딜 | 그린 리모델링 | - 공공 건축물 제로에너지 로드맵 (녹색 건축법 시행령 개정) |
그린 에너지 | - 주민 참여형 태양광 이익 공유 사업 도입 | |
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| - 사업용 수소차 연료보조금제 단계적 도입 (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) | |
융합 과제 | 스마트 그린 미래 학교 | 40년이 넘은 노후 학교를 디지털 기반의 친환경 학교로 전환 |
디지털 트윈 | 가상공간에 도로, 지하공간, 항만, 댐 등의 시설물과 쌍둥이처럼 닮은 '디지털 트윈', '디지털 시뮬레이션'을 구축하는 사업 (스마트시티, 스마트국토의 핵심적 기반) | |
국민안전 SOC 디지털화 | 도로, 철도, 공항, 항만, 수자원, 상수도 등 국가 핵심 기반 시설을 디지털화하고 효율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 (스마트시티, 스마트국토의 핵심적 기반) | |
스마트 그린 산단 | 산업단지를 디지털에 기반을 둔 스마트, 친환경 제조공간으로 탈바꿈 |
☞ 2025년까지 111만개 일자리 창출, 총 101조원 사업비. (대한민국 건국 이래 최대 규모의 미래 프로젝트)
10대 대표과제 관련 제도 개선 사안

한국판뉴딜종합계획 보고 (내용 메모)
1. 왜 한국판 뉴딜인가? (추진배경)
코로나로 인한 경기위기에 대한 대응: 방역 & 3차추경까지 총 277조원의 지원대책 마련하여 현재 강력히 추진 중
경제, 사회 전반의 구조변화: 비대면, 디지털화, 저탄소화
코로나위기를 신속한 개혁으로 극복하고자 함.
2. 한국판 뉴딜- 우리의 구상
디지털 뉴딜(기둥). 그린 뉴딜(기둥)
고용사회안전망(디딤돌)+사람투자
재정투자는 마중물일 뿐. 민간이 대규모 투자와 새로운 산업을 일으키는 등 펌프질이 있어야 할 것
디지털 경제 가속화, 저탄소 그린경제 가속화 (지속가능성Sustainablility 확보), 두터운 고용사회안전망(경제복원력 강화)(실업 등을 경험)
신산업 핵심인재 양성 시급. 신기술 분야 직업훈련.
3. 한국판 뉴딜, 무엇이 다른가? (차이점)
9대 분야+28개 프로젝트
- 선정기준: 파급력, 일자리 창출, 국민 체감도 높은 사업, 지역균형 발전 등
그린뉴딜 : 25년까지 73.4조원 투자일자리 65.39만 개 창출
그린스마트스쿨, 스마트 그린도시
저탄소, 분산형 에너지 확산. - 전기차 등
녹신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
4. 추진 이후 새로운 미래상
탄소 넷 제로
그린 리모델링, 그린 에너지,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
당 K-뉴딜위원회
'나도 이 세상 사람 > Issu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카페 일회용 보증금컵 제도, 모든 것을 자영업자에게 떠넘기는 어두운 정책의 이면. 개인카페에 적용되면 큰 일. (0) | 2022.05.24 |
---|---|
코로나시대 대학교 · 대학원 첫학기 휴학 불가, 과연 옳을까? (feat.결혼식예식장위약금-코로나는 신랑신부 잘못?) (0) | 2020.07.16 |
[귀여운영상공유] 노래하는 아기 Don't Let Me Down - The Beatles, por Diogo Mello (1 ano e 11 meses) (0) | 2020.07.13 |
[뉴스공유] 서울보다 더운 북극?…가장 추운 베르호얀스크 '38도' / JTBC 뉴스룸 (0) | 2020.07.13 |
그린뉴딜이 뭐에요? (0) | 2020.06.08 |